Surprise Me!

[취재N팩트] '학종' 실태조사...사실상 고교등급제 적용 논란 / YTN

2019-11-06 4 Dailymotion

금수저 전형, 깜깜이 전형이란 비판을 사고 있는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교육부의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주요 13개 대학을 대상으로 한 조사인데 교육부는 서열화된 고교체제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대학들이 학종 서류 평가 과정에서 암암리에 금지된 고교등급제를 활용했다는 의심이 드는 정황은 발견됐는데 명확한 증거를 잡지는 못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종균 기자! <br /> <br />교육부가 서열화된 고교체제를 확인했다고 밝힌 근거는 무엇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교육부가 제시한 근거는 두 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우선 각 대학의 고교유형별 학종 합격률을 보면 과학고와 영재고가 가장 높았고 외국어고와 국제고가 그다음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자사고와 일반고 순입니다. <br /> <br />고교 서열이 높아질수록 합격률도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하나의 근거자료로는 고교 유형별 평균 내신등급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픽은 교육부가 공개한 두 대학의 학종 전형 사례입니다. <br /> <br />왼쪽 사례를 놓고 보면 지원할 때 평균 내신등급을 보면 일반고가 2.09, 자사고가 3.33, 외고·국제고가 3.59입니다. <br /> <br />최종 합격자의 평균 내신등급도 일반고 1.5, 자사고 2.6, 외고·국제고 2.86입니다. <br /> <br />합격률과 비교하면 완전 역순입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는 지원부터 합격자 등록까지 전 과정에서 서열화된 고교체제가 드러났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다면 고교 서열화 현상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인데요. 금지된 고교등급제를 적용한 사례는 없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교육부는 대학에서 서류 평가시스템을 통해 과거 졸업자 진학 실적이나 고교유형별 평균 등급을 제공하는 사례를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정한 고등학교 유형을 우대할 수 있는 정황을 발견했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번 조사에서 자사고나 특목고, 과학고 등에 가점을 부여하는 등급제와 같은 사례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학종 실태조사에서 고교 서열화라는 현상은 발견했지만 고교등급제가 적용된 사례는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"학종이 곧 고교 등급제 때문이다." 또는 "고교등급제 덕에 학종에 합격했다"는 인과관계를 밝히지는 못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 스스로도 어제 발표에서 고교등급제를 놓고 추정, 가능성이라고만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학종은 내신등급 외에도 다양한 평가요소가 존재한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는 앞으로 추가조사와 특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10611241664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